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2.09.19
국가별 화장품 수출액 순위
[교보증권 정소연] K-뷰티, 나 제법 잘나가요.(색조편)


화장품이 내수소비재 이상의 프리미엄을 받아야 하는 이유는 수출에 있다. 다만 그간 중국향 경쟁력에‘만’ 치우쳐있다면, 이제는 글로벌 경쟁력에 프리미엄을 부여해야 한다.
2021년 한국의 화장품 수출액은 전년대비 21.3% 증가한 91억 8,357만달러(10조 5,099억원)을 기록했다. 한국은 전세계 화장품 수출국 3위로, 프랑스(17.9억달러), 미국(9.6억달러) 뒤를 잇는다. 이는, 프랑스가 5년간 연평균 6.5%, 미국이 0.1% 성장하는 동안 한국은 16.7%로 고성장한 결과다. 동시에 화장품은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으로의 자리를 견고히 하고 있다.한국의 무역수지 흑자 내 화장품 비중은 25.7%로 확대됐다.
K뷰티는 분명 발전하고 있으나, 중국향 화장품의 Peak-out에 가려져 막상 수혜를 받은 종목은 없다. 중국 외 국가에서 고성장하고 있는 한국 화장품에 관심을 줘야할 때라고 판단한다.
관련 목록
화장품/유통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