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아봐
모아봐
  • 커뮤니티
    • 전체
    • 클리앙
    • 82cook
    • 오유
    • 뽐뿌
    • etoland
    • 웃대
    • 개드립
    • 보배
    • 딴지
    • 엠팍
    • 루리웹
    • 가생이
  • SCRAP
  • 주식/부동산
  • 실적정보
  • 목표가 상향/하향 종목
  • 기업별 수주잔고
  • 종목 반등강도
  • 경제캘린더
  • 가격/정보
    • 국가통계포털
    • 원자재가격정보
    • 광물가격
    • 곡물가격동향
    • 국제곡물정보
    • 관광입국/출국자수
    • 제주관광통계
    • 폐지골판지가격
    • 제지산업월별수급
    • 열연가격
    • 조강생산량
    • 탱커운임지수
    • 건설경기지표
    • 유튜브순위
  • 환율차트
    • 달러인덱스
    • OITP지수
    • 유로/달러
    • 달러/엔화
    • 달러/위안
    • 달러/원
  • 상품시장
    • 금
    • 은
    • 구리
    • 원유(WTI)
    • 정제마진
    • DRAMexchange
    • 폴리실리콘
  • 시장위험지표
    • VIX지수(변동성지수)
    • 공포와탐욕지수
    • CDS프리미엄
    • 미국장단기금리차
    • 미국은행 예금잔액/대출잔액
    • 하이일드채권 수익률 스프레드
    • 미국10년 국채와 BAA채권 갭
    • GDP-Based Recession Indicator Index
  • 세계금리
    • 미국10년채권
    • 중국 채권 수익률곡선
    • 독일10년채권
    • 일본10년채권
    • 한국3년 채권수익률
    • 세계국채수익률
    • 국가별기준금리
    • 미국정크본드 ETF
  • 참고경제지표
    • BDI 지수(발틱운임지수)
    • OECD 경기선행지수
    • 국가별신용등급
    • 달러인덱스와 중국 외환보유고(금 제외)
  • 미국경제지표
    • M1통화
    • M2통화
    • 미국 인플레이션
    • 제조업 PMI
    • 기업이익
    • 산업생산 증가율
    • 가동률
    • 기업재고
    • 주택착공건수
    • 주택가격지수
    • 실업률
    • 생산자물가 상승률
    • 소비자물가 상승률
    • 10년물 기대 인플레이션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 미국 원유 생산량
  • 중국경제지표
    • 중국M1통화
    • 중국M2통화
    • 중국 인플레이션
    • 중국 차이신PMI
    • 중국 제조업PMI
    • 중국 생산자가격
    • 중국 주택지수
    • 중국 GDP대비 정부부채
  • 한국경제지표
    • 한국M1통화
    • 한국 인플레이션
    • 한국 수출증가율
    • 한국 주택가격지수
    • 한국/미국 대형주지수 상대강도
    • 국가별수출
    • 한국 GDP대비 정부부채
    홈 커뮤니티 주식 실적정보 밸류체인 수주잔고 부동산

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OLED 디스플레이 공정별 장비/소재 업체
[유진투자증권 허준서] 중화권 패널사 8.6G 투자 수혜주 찾기 [2025.02.26]






왜 중국 패널사들의 투자를 주목해야 하나
[유진투자증권 허준서] 중화권 패널사 8.6G 투자 수혜주 찾기 [2025.02.26]






폴더블 아이폰 수혜 예상 기업 / 디스플레이 밸류체인 신사업 현황
[SK증권 권민규] 디스플레이 : 25년은 사필귀정 [2024.12.11]

아이패드 출시로 인한 패널, 소재 업체 업사이클 진입

Display 업종은 다른 북미 고객사 Value-Chain 대비 회복 지연 


국내 Display 산업에서 IT OLED의 출시로 인해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업은 LG디스플레이, 덕산네오룩스, 피엔에이치테크 등임. 국내 Value-chian은 전략 고객사에 대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최근의 이러한 상황들은 올해 연간 실적뿐 아니라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임. 현재 소재 업체 Valuation 구간은 24F P/E 기준 17-18배 수준으로 향후의 OLED 확대 기대감을 고려했을 때 저평가되어 있다고 판단됨. 특히, 다른 북미 고객사 vendor 대비 디스플레이 업종은 주가 조정 대비 아직까지 회복세 지연(Display 업종 역시 OLED Up-cycle 모멘텀 보유). 디스플레이 업종에 대한 투자의견 비중확대(Overweight) 유지



 









아이패드 출시로 인한 패널, 소재 업체 업사이클 진입
[현대차증권 김종배] iPad OLED 제품 출시와 국내 Display 산업의 영향 [2024.05.09]

2024 OLED 기술 트렌드





 







2024 OLED 기술 트렌드
[현대차증권 김중배] OLED, 꺼지지 않는 촛불 [2024.02.29]

디스플레이 업종 투자 전략


 







디스플레이 업종 투자 전략
[현대차증권 김중배] OLED, 꺼지지 않는 촛불 [2024.02.29]






삼성전자의 W-OLED 주문 확대 예상 / 차량용 디스플레이
[현대차증권 김중배] OLED, 꺼지지 않는 촛불 [2024.02.29]

Application별 세트 및 패널 전망

OLED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인 이유: 1) 전력효율, 2) 폼팩터 변경 


2024년 디스플레이의 핵심 기술은 OLED, 신규 응용처는 IT(Tablet)이다. OLED는 현재 LCD가 아직까지 주류인 디스플레이 시장 내에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OLED는 명암비, 색재현력 등 다양한 장점을 갖지만 차세대 기술인 이유는 크게 두가지이다. 


첫번째는 전력효율이다. 전력효율, 즉 전성비는 IT 기기의 끊임없는 숙제이다. Application 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전력소모가 빨라지지만 결국 휴대(Portable)를 위해서는 전력효율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OLED는 별도의 발광원(BLU) 없이 필요한 부분에 전력을 전달하여 빛을 낼 수 있어 전력 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이미 LCD에 비해 많은 부품이 빠지며(BLU, 컬러필터 등) 동일한 두께에서 전력효율을 위한 부품들을 추가하는 데 부담이 없다.


두번째는 폼팩터(Form Factor)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LCD는 백라이트 유닛(BLU), 컬러필터(CF), 편광판(Polarizer) 등 구조 특성상 유연성을 갖추기 어렵다. 하지만 OLED는 이러한 부품들이 불필요하고 기판 역시 유연성을 갖춘 PI 등을 이용하기에 다양한 패널 생산이 가능하다. 추후미래 디스플레이라 불리는 응용처는 결국 폼팩터의 변화가 가능한 기기가 될 것이다. 특히, 휴대성(Portable)을 높이기 위해서 기기를 접거나 펴는 것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OLED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주목받는 이유이다.



 

Notebook PC의 OLED 전환은 2025년부터


Notebook PC에서의 OLED로의 본격적인 전환은 Monitor에 비해 더 빠를 것으로 보인다. 물론, 2023년 LG전자가 출시한 폴더블 노트북 등 이미 OLED가 적용되고 있다. 아직까지 침투율은 저조한 수준이지만 기술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모니터에 비해 OLED로의 전환이 더 빨리 이뤄지는 것은 분명하다. 특히 2026년 애플이 맥북에 OLED를 적용할 계획을 갖고 있고 이에 앞서 대만 업체들이 OLED 노트북을 출시하게 된다면 노트북에서의 패널 전환은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아직까지 OLED 노트북의 ASP가 높아 소비자들의 가격 부담을 고려한다면 당장 노트북 내 OLED 전환은 큰 수요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향후 Apple의 노트북 내 OLED패널 적용 시 OLED로의 전환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본다



 

OLED Monitor 본격적인 전환은 아직. 프리미엄 위주로 일부 성장 기대 


- 현재 LGD의 대형 OLED 기술인 W-OLED의 다운사이징 기술 혹은 FMM마스크를 활용한 소형의 Scale-up 기술 중 어느 기술이 적용될 지는 아직 미지수이다. 

- 현재 대형OLED는 32인치까지 down-sizing에 성공하였으나 그 이하로 낮추는 것에 대해서는 기술적인 한계에 부딪힐 수 있다. 기술 난이도에 따라 IT 기기 중에서는 Tablet, Notebook, Monitor 순으로 OLED 전환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 LGD는 삼성전자에 모니터용으로 27인치, 31.5인치 W-OLED 모니터 납품 검토 중이다. 이미LG전자에 27인치 W-OLED 모니터 패널 공급, 2023년 말부터 31.5인치 W-OLED 모니터 LG전자에 납품 예정이다.

- 2023년 OLED 모니터 출하량은 증가한 50만 8000대가 예상된다. 이는 2022년 OLED 모니터출하량 12만대에 YoY 323% 증가한 수치이다. 2024년 OLED 모니터 출하량은 다양한 크기와 사양의 OLED 모니터가 출시되며 100만대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TV, 시장 성장률은 제한적이나 OLED TV는 Double-Digit 성장 


- 글로벌 TV 시장은 2023년 저점을 지나 2024년 1.6% 성장하며 소폭 반등할 것으로 전망한다. 다만, OLED TV는 전년 대비 20% 성장한 600만대 시장을 예측한다.

- OLED TV 성장에 대한 근거는 1) 세트업체의 OLED 라인업 확대, 2) 재고 조정 후 Re-stocking 수요, 3) 일본 지진의 영향으로 인한 LCD 패널가 상승으로 인한 반사이익이다

- 기존에 프리미엄 라인으로 내세웠던 QLED 등을 중국 세트 업체가 비슷하게 출시하면서 다른 프리미엄 출구 전략을 구상 중이다. 이에 대한 해답은 OLED TV이다. 과거 OLED TV에 대해서는 시장 진입 의지가 없었으나 현재 중국과의 격차를 위해서는 OLED TV 패널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Application별 세트 및 패널 전망
[현대차증권 김중배] OLED, 꺼지지 않는 촛불 [2024.02.29]






OLED 기회/위험 요인
[신한투자증권 남궁현] 디스플레이 : 고생끝에 IT OLED 온다 [2023.11.30]






전장 OLED 산업 전망
[키움증권 김소원] 2024년 OLED 산업전망 [2023.11.21]

IT OLED산업전망

IT OLED 패널 출하량은 5년간 CAGR 40%로 성장할 전망 


- 노트북, 태블릿, 모니터를 포함한 글로벌 IT OLED 패널 출하량은 2019년 400만대 → 2024년 2,150만대로 예상

- 2024년 OLED 아이패드에는 첫 Hybrid OLED 패널 채용이 예상되고, LG디스플레이의 점유율 우위가 예상됨에 따라 IT OLED 시장 내 삼성디스플레이의 점유율이 48%로 하락 예상

- 그러나 삼성디스플레이의 OLED Capa 고려 시 2025년부터 재차 점유율 확대가 예상되며, 2026년은 8.7세대 양산을 통해 IT OLED 시장 내 점유율 지속 확대될 것


- 특히 모든 아이폰에 OLED 채용을 시작한 2H20을 기점으로 Xiaomi 중심의 중화권 업체들의 OLED 스마트폰 침투율이 가파르게 증가

- 현재 OLED 태블릿 시장 또한 삼성전자가 약 70%의 점유율 차지하며 사실상 독주 중. 2024년 OLED 아이패드의 출시가 OLED 태블릿 및 노트북 시장 성장을 가속화 시킬 것으로 판단


- 올해 투자를 시작한 삼성디스플레이의 8.7세대 신규 라인은 2025년 셋업 완료 후 2026년 양산 본격화 예상

- OLED 맥북 프로 모델 또한 Two stack tandem OLED 적용 예상. 그러나 OLED 맥북은 LTPO TFT 적용이 예상되는 OLED 아이패드와 달리 Oxide TFT 기술 적용을 통한 생산 원가 절감 예상

- 모니터용 패널의 평균 사이즈는 약 25인치로, RGB OLED 대비 생산 수율 및 원가 경쟁력이 있는 QD-OLED 및 WOLED 패널 중심으로 OLED 침투율 확대 예상



 








IT OLED산업전망
[키움증권 김소원] 2024년 OLED 산업전망 [2023.11.21]




차량용 OLED 고성장 기대
[KB증권 김동원] 디스플레이 [2023.11.21]


전장 OLED
[신한투자증권 남궁현] 우상향 Cycle 진입 [2023.08.31]

IT OLED 확장 본격화 - 태블릿, 노트북

IT OLED 기술 변화 

- Two Stack Tandem

- Hybrid OLED


IT OLED 기술 변화로 1) Two Stack Tandem, 2) Hybrid OLED를 꼽을 수 있다. IT OLED는 디스플레이의 밝기와 수명 확보를 위해 Two Stack Tandem(OLED Layer가 2개인 구조)을 적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같은 면적 대비 OLED 발광 소재가 1.5배 많이 요구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태블릿은 스마트폰 대비 출하량은 적지만 한 개의 제품에 요구되는 면적이 크다. iPad의 연간 출하량은 4,000~5,000만대 수준으로 2.2억대인 iPhone 대비 적지만, iPad 면적 및 OLED Layer를 고려하면 OLED 소재의 증가 폭은 클 것으로 전망한다.


Macbook OLED 


Apple 또한 노트북 OLED 전환에 동참할 것으로 전망한다. 스마트폰 및 태블릿과 다르게 노트북 시장에서 Apple의 시장점유율은 상대적으로 낮다. 2020년 자체 SoC M1 칩을 탑재한 Macbook을 출시하며 시장점유율을 9%(2019년)에서 11%(2022년)까지 2%p 상승시켰다. 여전히 Lenovo, HP, Dell 대비 낮은 수준이다. Apple은 새로운 요소를 통해 시장점유율 확대를 원할 수밖에 없다. 이에 26~27년 MacBook OLED 전환을 통해 다시 한번 시장점유율 확대를 도모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노트북 OLED 스토리: Macbook OLED →경쟁사 OLED 탑재


Apple의 OLED 노트북 전환은 경쟁사들의 OLED 채용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배경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26~27년 노트북 세트업체들은 제품 경쟁력 강화를 위해 OLED 채택 경쟁을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한다. Apple을 시작으로 노트북시장 전반적으로 OLED 기술 전환 흐름을 전망하며, 한국 디스플레이 업체의 수혜 강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IT OLED 확장 본격화 - 태블릿, 노트북
[신한투자증권 남궁현] 우상향 Cycle 진입 [2023.08.31]
    • 1
    • 2
    • 3
    • 4
    • 5
    • 6
    • >
    • »

‹ › ×
    webnuri7@gmail.com Moabbs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