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2.09.19
일본, 미국에서의 K뷰티 점유율 확대
[교보증권 정소연] K-뷰티, 나 제법 잘나가요.(색조편)


K뷰티 글로벌 입지의 변화
중국과는 대조적으로 성장 국면에 있는 영역이 있다. 일본, 미국, 동남아 등에서다. 특히, 일본에서의 입지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난해 한국은 일본 내 화장품 수입국 중 1위에 등극했다. 2018년 미국을 제치고 2위로 상승한 이후, 부동의 1위국인 프랑스를 넘어선 결과다.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8% -> 2018년 16% -> 2021년 31%로 상승했으며, 올해 7월 누적으로도 한국은 33%를 차지하며 입지를 굳히고 있다.
미국에서도 K뷰티의 점유율은 확대되고 있다. 미국의 화장품 수입액 내 한국 비중은 2015년 6% -> 2018년 10% -> 2021년 13%로 상승하며, 2위국으로 등극했다. 올해 7월 누적으로는 14% 비중으로, 프랑스(15%)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관련 목록
화장품/유통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