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28 금융위기 시기 백화점 3 사 매출액,영업이익 성장률 / 2021년 백화점 2030 세대 명품 매출액 비중
[이베스트증권 오린아] 유통 : 그 많던 돈은 어디로 갔을까?

근 10년만에 백화점 의류 소비가 눈에 띄게 성장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단순히 보복소비로 차치하기에는 양상이 다소 다르다고 판단한다. 이 성장을 이끄는 주체가 온라인 브랜드를 선호하고 유행에 민감한 20~30대들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2021년 백화점 3사의 2030 고객 매출 비중은 30~40%수준으로 주요 고객층으로 급부상했다.


최근과 같은 질적 성장이 나오는 이유는, 백화점들이 어려운 소비 환경 속에서도 꾸준히 1)MD 개편을 단행해 왔고, 2)트렌드를 반영한 신규 점포 오픈을 진행했으며, 3)팝업 스토어 등을 통한 집객을 이끌어 냈기 때문으로 판단한다. 이런 내용이 마침 코로나19 이후 보복소비 심리와 맞물리면서 2022년 백화점 의류 소비가 회복될 수 있었다고 본다. 이에 저마진 품목인 명품과 식품이 백화점의 성장을 견인했던 코로나19 이전과는 달리 수익성도 같이 개선되는 긍정적 효과를 불러오고 있다.


실제로 2008년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GDP 성장률은 0.3%에 불과했으나, 백화점 3사의 합산 매출액은 6%증가한 바 있다. 당시 국민 총소득 또한 환율 상승 영향으로 1만 7,157달러를 기록하면서 YoY -10.9% 감소했지만 이와 별개로 백화점 실적은 안정적이었다. 이 당시에는 명품과 아웃도어, SPA 브랜드 중심으로 집객이 늘었다면, 금번에는 점포 체질 개선을 통해 한 단계 진화하는 시기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관련 목록
화장품/유통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