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1) 유튜브와 SNS가 이끈 글로벌 팬덤 확대
팬덤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는 앨범 판매량이다. 글로벌 앨범 판매 매출이 최근 20년간 감소 추세를 보인 것과 달리 우리나라 앨범판매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써클차트 월간 top400 기준 앨범 판매량을 보면, 2022년 앨범판매량은 전년대비 36% 증가해 8,070만장을 달성했다. 2017년 1,770만장에서 5년간 35%씩 증가한 수치다. 앨범 판매의 대부분이 아이돌 앨범이며, 엔터4사의 앨범 판매량이 전체의 약 70~80%를 차지한다.
해외에서 이끈 팬덤 확대
2010년대 전반에 걸쳐 유튜브의 영향력이 확대되며 비아시아 지역에서도 케이팝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2010년대 후반부터는 해당 지역에서 케이팝이 의미 있는 인지도와 팬덤을 얻게 되었다. 특히 2020년과 2021년에 유튜브 조회수 증가폭이 컸다. 이 시기는 앨범 판매량도 크게 증가했던 구간으로 유튜브를 통한 팬덤유입 효과가 큼을 유추할 수 있다.
해외 인기가 높아지면서 케이팝 팬덤 역시 해외 팬의 수가 국내 팬 수보다 압도적으로 커졌다. 주요 아티스트들의 유튜브 조회수를 살펴보면 한국 비중은 평균적으로 10% 수준으로, 90%는 해외 이용자다. 팬들만 사용하는 팬 플랫폼의 매출액과 MAU를 보더라도, 디어유 버블 매출액의 75%가 해외 매출이며, 해외 MAU 비중은 JYP버블이 93%, 리슨(SM버블)이 89%다(센서타워 기준). 위버스 역시 해외 MAU 비중이 94%로 이용자의 대부분을 해외 팬들이 차지하고 있다.
2) 케이팝 글로벌 인지도 상승과 노출 확대, 팬덤 확장 추세 지속될 것
앞으로도 케이팝 팬덤은 더 커질 것이다. 지금까지 해외를 중심으로 케이팝 팬덤이 빠르게 확장됐지만, 여전히 글로벌 주류 콘텐츠들 사이에서 케이팝은 니치마켓에 해당한다. 하지만 케이팝의 글로벌 대중 인지도가 높아지며 케이팝 팬이 아닌 사람들에게도 케이팝 콘텐츠가 이전보다 빈번하게 노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케이팝 팬덤 유입은 지속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글로벌 엔터산업에서 케이팝이 새로운 기록을 세우는 현상이 이어질 것이다.
유튜브, SNS의 강한 전파력, 여전히 팬덤 유입에 긍정적 역할
유튜브, 틱톡 등 동영상 플랫폼의 알고리즘 추천 영향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케이팝에 노출되는 환경이다. SNS의 전파력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본 영상을 더 많은 사람들이 보게 만든다. BTS, 블랙핑크의 경우가 그랬는데, 이들은 글로벌 상위 24시간 조회수 뮤직비디오 10위 중 1위부터 9위까지 차지하고 있다. 많은 국가의 인기 동영상 순위에 케이팝 뮤직비디오가 오르고, 전세계에서 유튜브를 통해 엠카운트다운, 음악중심 등 음악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한 번 영상을 시청하면 알고리즘이 해당 아티스트나 다른 케이팝 아티스트의 뮤직비디오, 무대영상을 포함해 다양한 관련 영상을 추천해주기 때문에 전파력이 매우 강하다.
앞으로도 지금까지와 비슷한 구조로 팬덤 확대가 지속될 전망이다. 유튜브, SNS등을 통해 케이팝을 접하는 사람들이 모두 팬이라고 할 수는 없으나, 그 중 일부는 케이팝에 입덕할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케이팝 팬이다. 게다가 이제는 온라인 뿐만 아니라 해외 투어를 통해 오프라인에서도 케이팝 아티스트와 팬의 접점이 생기기 때문에 팬덤 확대는 더욱 빨라질 수 있다.
10대에 케이팝 팬이 된 사람들은 이삼십대에도 케이팝 팬일 가능성이 높고, 좋아하던 아이돌에게서 탈덕(팬 활동을 중단)하더라도 언제든 다른 아이돌에게 입덕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이러한 특성도 케이팝 팬덤 확장에 대해 우려할 필요가 없는 이유 중 하나다.
3) 깊어지는 팬심과 커지는 덕질 자금
케이팝 팬들은 아이돌로부터 미적 요소를 보는 즐거움, 소통을 통한 재미와 위로, 동료 팬들과의 연대감, 소속감 등 다양한 심리적인 효용을 얻는다. 따라서 케이팝 팬덤은 단순히 음악을 듣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시간과 돈을 지출한다.
팬덤 내 거래 증가를 통해 돈을 더 주고서라도 갖겠다는 케이팝 팬덤의 강한 수요와 이에 따른 낮은 가격 민감도를 알 수 있다. 어느정도 인기를 확보한 아이돌에 대해서는 엔터사가 콘서트, 굿즈 등의 가격을 올리거나 더 많은 굿즈를 발매해도 매진될 가능성이 높다. 앨범 판매가 아니더라도 콘서트와 굿즈 등 엔터사가 더 높은 수익을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다
케이팝 팬덤의 인당 구매력도 더 커질 수밖에 없다. 팬심에 크게 악영향을 미칠 스캔들이나 인기를 유지하기 어려운 정도의 IP 노후화가 아니라면, 보통의 경우 좋아하는 아티스트에 대한 충성도가 심화되며 팬당 지출이 늘어난다. 여기에 더해서 1) 케이팝 팬덤의 평균 연령 상승과 함께 커지는 구매력과 2) 해외 팬덤의한국 팬덤 문화 흡수 경향, 해외 라이트팬의 국내 열성팬화로 전체 케이팝 팬덤의 구매력 확대가 예상된다.
4) 2022년의 높은 구보 판매량, 올해의 신보 성장세로 이어질 것
구보는 가장 최근에 발매된 앨범이 아닌 그 전에 발매된 앨범을 말한다. 앨범 발매 주기가 최소 3~6개월 정도 걸리는 걸 감안하면 발매된 지 6개월 정도 지난 앨범이라고 볼 수 있다. 팬덤을 대거 확장시킨 성공적인 앨범 활동(또는 공연, 방송 활동)은 이후 구보 판매량과 그 다음 앨범 판매량의 증가를 이끈다. 따라서 특정 신규 앨범 판매량과 그 전까지의 구보 판매량은 이전에 유입된 팬덤의 크기를 나타내고, 따라서 두 지표는 어느정도 비례하는 경향이 있다.
작년 구보 판매량은 약 817만장으로 전체 판매량의 11%를 차지했다. 구보를 50만장 이상 판매한 아티스트는 BTS, TXT, 세븐틴, 레드벨벳, 스트레이키즈, 트와이스 등 6팀으로 올해 앨범 판매량에 있어 높은 성장세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이미 2월에 앨범을 발매한 TXT는 이전 앨범 대비 초동판매량이 75% 증가하며 커리어하이를 달성했다. 세븐틴도 4월 발매한 앨범 초동판매량이 455만장으로 이전 최고 초동판매량인 207만장을 훌쩍 뛰어넘었다. 이러한 패턴이 스트레이키즈 등 작년 구보판매량이 높았던 다른 아티스트들에게도 적용될 것이다.
5) 4세대 보이그룹의 레벨업 & 걸그룹도 100만장 시대
작년에 급성장한 그룹들이 많았기 때문에, 이들의 가장 최근 앨범의 기록을 유지만 해도 앨범 판매량은 15% YoY 이상 증가한다. 하지만 케이팝 팬덤이 계속 확대되고 있고, 특히 작년에는 코로나 시기에 중단됐던 공연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팬들과의 접점이 늘어났다. 따라서 팬덤 확대와 함께 올해 엔터4사의 앨범 판매량은 7,700만장으로 42% YoY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 작년과 올해 초 큰 성장을 보여줬던 라인업들은 세븐틴을 제외하면 비교적 신규 IP로 올해 또는 올해 이후에 전성기를 맞을 그룹들이다.
6) 콘서트, Q 확대와 P상승 동시에
규모가 커지는 동시에 티켓 가격도 높아졌다. 코로나 전보다 코로나 이후 한 단계 점프업했고 코로나가 끝난 2022년 대비 2023년에 또 높아졌다.(콘서트 티켓 가격,작년 대비 17% 증가)
7) 더 빈번해지고 다양해지는 MD
팬심 심화의 또 다른 결과는 MD 판매 증가다. 팬심이 깊어지면 앨범 구매를 넘어 MD 구매까지 하게 된다. MD는 엔터 4사 매출 중 20%를 차지하는 항목으로 콘서트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MD의 발매 주기가 짧아지고, 판매 지역이 확대되고, 종류도 다양해지면서 엔터 4사 합산 MD 매출액은 최근 3년간 연평균 27%씩 증가했다. 늘어나는 MD 매출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먼저 발매 주기가 짧아졌다. MD는 콘서트, 팬미팅, 팝업스토어, 전시회 등 이벤트에 맞춰서 발매되고, 따라서 그 시기에만 구매 가능한 품목들이 대부분이다. 한정판 성격이 있어 웬만하면 발매 시기에 매진되는 경우가 많고 그렇기 때문에 발매가 잦아질수록 MD 매출도 증가한다.
엔터사들은 각각의 온라인 유통망을 확보해 전세계 팬덤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굿즈 판매 및 관리가 가능해졌다. 기존 온라인 유통처를 통한 판매에서 이제는 자사 플랫폼을 통한 직접 유통이 된 것이다. 하이브와 YG는 위버스샵을 통해, JYP는 집샵(jypshop)을 통해, SM은 SM타운앤드스토어(곧 위버스샵 추가) 등을 통해 글로벌 팬들에게 굿즈를 판매한다. 특히 하이브의 위버스샵은 하나의 어플을 통해 여러 아티스트들의 MD를 구매할 수 있어 팬들의 접근성이 높아졌고, 자사 아티스트의 MD 유통 수수료를 줄일 뿐 아니라 타사 입점 아티스트 MD 판매 수수료까지 수취하고 있다.
8) 신인 보이그룹 빈집에 대형 보이그룹의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