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2.09.05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변화 - 점점 더 중요해지는 개별인정형 원료
[DS투자증권 장지혜] 잘 먹고 잘 사는 투자


개별인정형 원료는 식약처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원료를 등록하고자 하는 회사에서 별도의 신청으로 식약처의 심사를 통해 등록되는데 식약처는 기능성 원료의 표준화, 안전성, 기능성에 대한 심사를 통해 기능성 원료를 인정하고 이것이 개별인정형 원료가 된다. 자료 제출 후 심사기간은 120일이나 심사를 위한 자료의 추가 요청 등으로 제출 후 기능성 원료로 인정되기까지 더 긴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개별인정형 원료 등록 업체는 직접 원료를 수급하고 연구를 통해 원료의 기능성을 입증해야 하므로 별도의 연구와 개발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하나의 원료를 개발, 표준화, 비임상, 임상단계를 거쳐 식약처에 등록하는데 4~7년이 소요되고 약 5~10억원의 비용이 소요된다고 알려졌다.
관련 목록
음식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