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4.04 팬 유형 분류 및 행동,역할 / 엔터 산업 콘텐츠 바이럴 흐름
[유안타증권 이혜인] 2022 엔터 르네상스의 시작

케이팝 팬덤 특이점 ① ‘ 크리에이터 집단


엔터사가 제공하는 1차 콘텐츠의 양은 무한한 생산이 어렵다 아티스트가 1년 24시간동안 매일 활동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고, 공백기 비활동기 에는 활동기 대비 더더욱 콘텐츠 양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엔터사가 만들어내는 콘텐츠 외에도 팬들이 자체적으로 만들어내는 2차, 3차 콘텐츠가 필요하다. 이미 봤던 콘텐츠도 다르게 복습 해보고 , 혹은 미리 다음 앨범은 어떨지 컴백 컨셉을 예측해보고 회사가 제공한 1차 콘텐츠 기반으로 2차, 3차 가공을 해다른 느낌으로 소비 해보는 등 팬덤 커뮤니티에선 수많은 창작 활동이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팬들이 만들어낸 파생 콘텐츠들은 기존 팬덤이 팬 활동에 재미를 잃지 않고 계속 팬덤에 머무르게 만든다 팬들간 유대감을 가지게 만들며 , 아티스트를 같이 응원하며 기다 릴 수 있다. 팬덤 유출을 막을 수 있다 팬덤 유지를 위해선 소속감과 결속력이 중요한 이유이다 이렇게 팬덤 내에서 자체 적으로 콘텐츠를 생산 하는 팬들 은 팬덤 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데 매우 큰 기여를 한다 이들 의 존재는 4 가지 측면에서 역할을 하는데 ① 팬덤 소속감 결속력 형성, ② 기존 팬덤 유출 방지효과 , ③ 신규 팬덤 유입 효과 , ④ IP 에 대한 몰입도 증가에 따른 소비 영역 확대까지 이어질 수 있 다 대표적인 사례가 BTS 나 EXO 의 세계관 콘텐츠에 대한 팬덤의 창조적 소비 방식이 있다


아티스트 IP 충성도 몰입도 에 따른 소비자 행동 단계


[1단계] 에선 소비자는 초기엔 IP 관련 콘텐츠 감상 정도에만 그친다. 인터넷에서 가수 사진을 무료로 저장하거나 유튜브 시청이나 음악 감상 등을 통해 콘텐츠 소비를 하며 , 금전적 지출액은 0 에 가깝다


[2단계] 에선 소비자는 팬클럽 콘텐츠 , 앨범 구매 등 IP 관련 유료 콘텐츠에도 소비를 하기 시작한다 소비자 입장에서 더 많은 콘텐츠를 보기 위해선 일정 비용을 지불한다.


[3단계] 에선 소비자가 팬덤 진입의 신호인 심리적 응원 지지 단계에 도달하게 됐을 경우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아티스트를 1 위로 만들기 위한 각종 인터넷 투표에도 참여하고, 아티스트 앨범 판매 1 위를 위해 앨범을 수십 장씩 사기도 한다 그 뿐만 아니라 기념일엔 생일 광고도 진행하며 아티스트 이름으로 기부를 진행하기도 한다


[4 단계] 부터 콘텐츠 생산 단계이다. 소비자는 아티스트 응원을 하기 위해 시간 혹은 돈을 써가며 콘텐츠를 만들어낸다 팬아트 를 그리기도 하고 , 멤버를 소재로 한 창작 소설을 쓰기도 하고 , 멤버 사진 직캠을 직접 촬영해 공유하고 , 영상 콘텐츠를 짤(Gif) 로 만들어 배포한다 . 디지털 콘텐츠 뿐 아니라 실물 굿즈도 직접 만 들기도 한 다 . 팬들끼리 아티스트 콘텐츠를 같이 즐기기 위한 오프라인 전시회나 영상회를 열기도 한다


관련 목록
엔터/미디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