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2.12.09
주요 음식료 수출 실적 추이 / 농수산식품 수출 상위 10 품목
[DS투자증권 장지혜] 문화의 힘 : 23년은 해외가 답이다


K-Food의 성장. 한류와 함께 국내 음식료품 수출 확대
K-Food에 대한 글로벌 관심이 증가하며 소비 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요 가공 음식료품 수출도 늘고 있다. 주요 가공 식품 수출 품목인 5가지 음식료품 면류 과자류 음료 주류 소스류 의 합산 수출 금액은 2015~21년 사이 연평균 10.2%씩 성장했고 22년 10월 누적 금액은 23.5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7.3% 증가했다 전년비 성장률이 높은 품목은 순서대로 주류 (+14.1%), 면류 (+11.6%), 음료 (+9.4%) 였다.
수출 국가도 다변화되고 있다. 전체 농림수산식품 수출 금액이 1억 달러 이상인 국가는 21년 19개국으로 전년비 3개국 증가했다. 수출금액이 가장 큰 국가는 중국 일본 미국순으로 각각 전체대비 비중은 18.2%, 18.1%, 14.6% 를 차지했다. K-Food의 인기 증가로 김, 라면, 김치, 소스류 등 가정식과 간편식품의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
관련 목록
음식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