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02 곡물가 지수 장기 트렌드
[하나증권 심은주] 2023년 전망 : 2010~14년 사이클이 주는 힌트

이번 ‘곡물가’ 상승은 코로나 기인한 글로벌 공급망 문제 및 전쟁 등 외부 요인 영향이 크다. 



① 과거 추이를 보면 ‘라니냐/엘리뇨=곡물가 상승’의 공식이 항상 성립하지는 않았다. 

② 글로벌 공급망 이슈 완화 및 ③ 미국의 빅스텝 금리 인상 되면서 곡물가는 정점을 통과한 것으로 판단한다.

④ 중국을 포함한 신흥국의 경기 상황 감안시 곡물가는 라니냐가 마무리되는 2023년 초부터는 약세장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한다.

⑤ 곡물가 장기 트렌드(평균 상승/하락 주기 약 ‘2년 7개월’)를 참고하더라도 내년 상반기 중으로 곡물가는 대세 하락기에 접어들 확률이 높다.

 

곡물가가 2020년 6월부터 상승 주기로 접어들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내년 상반기는 하락세 예상 

관련 목록
음식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