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2.09.19
한국의 국가별 화장품 수출 비중 변화 / 화장품 중국향 수출 YoY 성장세
[교보증권 정소연] K-뷰티, 나 제법 잘나가요.(색조편)



그간 화장품섹터의 프리미엄 요인을 중국에 뒀던 이유는 `1)규모, 2)성장성, 3)수익성에 있다. 중국은 한국 화장품 수출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다. 국내 화장품 수출액 내 중국향 비중은 2013년 25.2% > 2017년 39.1% > 2021년 53.2%로 확대됐다. 그러나, 올해 중국향 화장품 수출은 8월 누적 비중 43.2%로 축소, 수출액 YoY -21.4%로 이례적인 역성장을 기록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도 중국향 수출은 이미 둔화되고 있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중국향 화장품 수출은 2013~16년 CAGR 60% 정점을 지났고, 주요 화장품 업체들은 성장둔화 및 마진하락 단계다. 이렇듯 중국향 수출의 성장성과 수익성은 이미 피크아웃 구간이며, 비중 또한 확대될 여력이 작다. 이는 더 이상 화장품 산업의 고밸류에이션을 중국만으로 합리화하기 어려운 이유다
관련 목록
화장품/유통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