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0.12 인터넷 보급 확대와 6G 서비스 확산에 필수적인 위성 인터넷
[키움증권 이한결] 항공우주 : Next Generation Space

위성 인터넷 사업 계획은 과거 이리듐 계획, 글로벌 스타 등 오래전부터 있어왔다. 과거부터 꾸준히 위성인터넷 사업을 시도한 것은 지상망 구축이 어려운 지역에 인터넷 보급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 때문이다. 2020년 인터넷 접속이 불가능한 인구는 전체 인구의 46%인 35억 6,100만명으로 위성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 커버리지 구축 시 잠재 수요가 상당한 수준이다. 하지만, 위성 제작이나 발사 서비스 비용 등 위성 통신망 구축을 위해 투자해야 될 금액의 규모가 너무 커 그동안 사업화 진행이 더딘 상황이었다.


ITU에 따르면 2021년 기준으로 전 세계 인터넷 보급률은 도심 지역이 76%이고 지방은 39%로 차이가 크다. 비도심 지역에 통신망을 구축하는 비용은 평균적으로 도심에 비해 35% 이상 비싸다. 인구 밀도를 고려하면 투입 비용 대비 기대 수익이 낮기 때문에 비도심 지역까지 촘촘하게 지상망을 구축하는 것은 어려웠고 인터넷 보급률의 차이로 이어졌다. 도심 지역과 지방의 인터넷 보급률 차이를 줄이고 잠재적인 인터넷 접속 인구를 늘리기 위해 위성 초고속 인터넷 사업이 지상망의 보완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관련 목록
항공/우주/방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