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2.10.12
위성 산업 업스트림/다운스트림 국내외 주요 공급망
[키움증권 이한결] 항공우주 : Next Generation Space


글로벌 위성산업의 업스트림 부문에서 지상장비 시장은 1,353억달러 규모로 가장 크고 그 다음이 122억달러의 위성체 제작 시장, 마지막이 53억달러 규모의 발사체 시장이다.국내 위성산업의 규모는 글로벌과는 다르게 위성체 제작시장이 6,304억원으로 가장 크고 그 다음이 4,332억원 규모의 발사체 시장 그리고 2,067억원의 지상장비 시장의 규모가 가장 작다. 국내 위성체 제작과 발사체 시장은 정부의 대규모 연구∙개발 프로젝트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면서 성장한 반면 국내 지상장비 시장은 연구∙개발 프로젝트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었기 때문이다.
글로벌 위성산업의 다운스트림 부문에서 위성 서비스 시장은 1,178억달러 규모이고 국내 시장은 2조 460억원 정도의 규모를 형성하고 있다. 위성 서비스 시장은 저궤도 위성 통신, 고해상도 지구 관측 등 혁신적인 서비스를 준비하는 글로벌 선두 업체를 중심으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에서 스페이스X와 원웹이 적극적으로 저궤도 군집 위성을 구축하며 향후 위성 서비스 산업의 성장을 이끌 것으로 판단한다.
관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