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0.12 글로벌 소형 위성 제작 수요 급증
[키움증권 이한결] 항공우주 : Next Generation Space

위성은 탑재체와 위성 본체로 구분되는데 탑재체는 위성의 임무에 활용되는 핵심 부품이다 탑재체에 어떤 부품이 들어가는지에 따라 위성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결정된다. 예를 들어 탑재체에 광학 카메라가 들어간다면 관측 위성 임무에 활용되고 통신 부품이 들어간다면 통신 위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탑재체를 제작하는데 본체보다 2배 정도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국내 위성 제작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은 한국항공우주 , 한화시스템 AP 위성 쎄트렉아이 제노코 등이 있다. AP위성은 탑재체에 들어가는 위성용 표준탑재컴퓨터를 주로 제작하고 있고 제노코는 관측 위성에 활용되는 데이터 전송 처리 장치인 X band Transmitter 를 국산화하여 납품하고 있다. 쎄트렉아이와 한화시스템은 관측 위성의 핵심 부품인 광학 부품 및 체계 , SAR 위성 본체 등을 공급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는 차세대 중형위성의 본체와 체계 개발 을 담당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국내 위성 제작 업체 매출의 많은 비중을 국내 위성 제작 프로젝트가 담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위성 제작 사업에서 레퍼런스가 가장 중요한 만큼 앞으로 국내에서 위성을 운용하며 성능을 검증한 업체들 위주로 위성 제작 기술이 부족한 다른 나라에 수출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것으로 전망한다



관련 목록
항공/우주/방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