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2.10.28
주요 소재 업체별 원가 구성 비교 / 소재 업체별 영업이익률 추이
[신한투자증권 정용진] 마찰과 당위


소재 업체들의 최근 실적 추이를 통해서도 이러한 환경 변화를 읽어낼 수 있다. 주요 소재별 원가 구성을 비교 해보면 재료비 비중은 양극재 = 음극재(천연) > 동박 > 음극재(인조) > 분리막 업체 순으로 나타난다. 기존에는 변동비 비중이 낮은 업체들이 가동률 개선 효과 및 과점화(=안정적인 가격 형성)를 통해 높은 수익성 확보가 가능했다.
22년 상반기는 변동비 비중과 가격 협상력이 높은 업체들의 호실적이 지속되고 있다. 변동비의 핵심인 금속 가격의 상승분이 전기차 가격 상승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전가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셀/양극재 업체들은 스프레드 상승을 통한 수익성 개선이 가능했다. 반면 고정비 비중이 높은 업체들은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CR 압박에 노출된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 목록
2차전지소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