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2.09 석유화학 - 폴리머 수요 비중
[메리츠증권 노우호]

① PVC(폴리염화비닐) :: LG화학, 한화솔루션

  • PVC는 비닐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저렴하여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 강직하고 질기지 않지만 가소제를 첨가하면 거의 고무처럼 탄력적이고 유연한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 PVC는 주로 건설용 파이프, 바닥재, 필름, 창틀 등에 이용되기 때문에 건설 및 인프라 업황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국내 PVC 연간 Capa는 LG화학이 126.5만톤, 한화솔루션이 78만톤 규모를 보유하고 있다

② PE(폴리에틸렌)

  • PE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이다. 저렴하며 몰딩성형에 용이하다

  • PE는 다른 화합물에 쉽게 반응하지 않아 가정용품과 식료품 용기에 널리 사용된다.​

  • 대표적으로는 장난감, 표장용기, 수축포장필름, 플라스틱 봉투, 생수병, 탄산음료 용기, 1회용 비닐장갑, 우유병, 식용유병등으로 쓰이며 필름, 시트에도 많이 사용되는 소재이다.

  • LDPE(저밀도폴리에틸렌) : 높은 충격강도와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농업용, 포장용 투명필름, 전선피복, 각종 랩등에 주로 사용 (한화솔루션, 롯데케미칼)

  • HDPE(고밀도폴리에틸렌) : 밀도가 높고 반투명한 특성이 있어 일회용 쇼핑백, 각종 용기, 플라스틱병뚜껑, 파이프원료등에 사용 (LG화학, 롯데케미칼)

③ PP(폴리프로필렌) :: 롯데케미칼, 대한유화, SK종합화학, SKC, KPX케미칼

  • PP는 PE 다음으로 두번째로 널리 사용되는 플라스틱이다.

  • 표준 등급 PP는 저렴하고, 가볍고, 연성이지만 강도가 낮아 락앤락 같은 식품 용기에 많이 사용된다.

  • PE보다 강직하며 더 높은 온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 포대용백, 필름, 섬유, 자동차 및 전기∙전자부품, 컨테이너, 일용품 등의 원료로 가장 폭넓게 사용된다.

④ PS(폴리스티렌)

  • 스티렌모노머(SM)를 중합하여 제조하는 열가소성수지로 고체이다

  • 가전제품의 케이스 및 부품, 퓨제품용기, 단열재나 발포포장제등의 원료로 사용된다.

⑤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LG화학, 롯데케미칼, 금호석유

  • 착색이 용이하고 표면광택이 아름다우며 기계적, 전기적 성질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다.

  • 화학저항성 및 온도저항성이 좋고 모든 고분자들 중, 저온에서 높은 충격저항을 보여주는 소재이다.

  • 대표적으로 컴퓨터와 TV케이스, 전화기등 가정용, 사무실용 전재제품과 자동차 부품, 면도기, 의자등에 사용된다.

정유/화학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