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2.11.22
동북아시아 에틸렌 증설 약 200만톤 - 동북아시아의 여건은 상대적으로 양호
[NH투자증권 최영광] 정유/화학 : 지역별 차별화 간극 메우기


2021년부터 동북아 역내 수급 상황은 급격히 악화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중국의 대규모 증설에 기인한다. 중국의 에틸렌 증설 물량은 2022년 628만톤으로, 글로벌 총 에틸렌 증설 물량의 55%, 동북아시아(중국, 한국, 일본, 대만) 역내 에틸렌 증설 물량의 92%에 달한다. 이로 인해 2022년 동북아 역내 공급은 9.6% 증가하는 반면, 수요는 1.6% 증가하는데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2022년 동북아시아 역내 중국발 증설이 유발한 공급 과잉은 2023년 중국의 수요 개선으로 완화될 전망이다. 2023년 중국의 증설 물량이 전년 대비 크게 줄어드는 가운데, 수요는 연내 제로 코로나 정책 완화 등으로 점차 증가하며, 상저하고의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Platts에 따르면 2023년에는 동북아 역내 에틸렌 생산능력이 전년 대비 2.5%(196만톤) 증가하는 반면, 역내 수요는 전년 대비 5.9%(328만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