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1.10.07
국내 온라인 음악 서비스 유료 이용 방식/국내 온라인 음악 서비스 유료 이용 플랫폼
[메리츠증권 이효진] 엔터테인먼트 바통을 넘겨줄 시기

음원 플랫폼 멜론은 카카오 계정 연동 효과가 더해져 국내 유료 가입자수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지만, 2019년 기점으로 YouTube가 빠르게 성장하며 1위 자리를 유지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과거 전체 음원 스트리밍 시장의 절반 이상을 압도적으로 차지했던 위상과 달리, 2,3위 genie, VIBE 시장 점유율만 합산해도 멜론 시장점유율에 준하는 수준이다. 국내외 다양한 신규 음원 플랫폼 등장과 편의성에 비해 높은 가격 등에 의해 멜론 시장 점유율은 40%대까지 떨어졌다. YouTube Music의 경우, YouTube Premium 서비스 이용자에 한해 무료 YouTube Music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2위 사업자인 genie(CJ ENM, LG U+, KT)와 FLO(SKT)는 통신사 지원을 통한 합리적 가격에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관련 목록
엔터/미디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