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가스가격 하락 = 유럽 가스위기 해소?
가스가격 하락으로 피팅 업종 피크아웃 우려 부각
하지만, 대란 이전 대비해서 2 ~ 3배 가까운 가격 수준으로 여전히 높은 수준
23년은 중국 리오프닝으로 LNG 수요 재차 상승, 러시아의 유럽향 물량 감소. LNG 수출 터미널 본격화되는 25년까지 가스시장은 여전히 불안
원유, 가스 수요 불균형 해소를 위한 에너지부문 투자 지속 전망.
해양 플랜트, 턴 어라운드 !
경제주체들의 에너지 문제장기화 인식에 따른 해양 플랜트 투자 시작
신흥국 수요 등으로 원유 및 가스 소비는 중기적인 증가 전망. 가스의 경우, 21년 수준의 수요 회복만 가정하더라도 공급 부족 전망
국내 조선사 FLNG 중심 수주 기대. 국내 피팅업계 수혜 전망
23 년 중국 리오프닝 수요가 붙는다
유럽이 가스 대란 발생한 기간동안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을 유지함에 따라 LNG 소비량이 감소했다. 중국은 제로 제로코로나 정책으로 인해 22년 LNG 수요는 64 MTPA로 21년 80 MTPA 대비해서 20% 정도의 소비 물량이 감소하였다.
23년도에 중국이 리오프닝함에 따라 중국의 LNG 소비가 21년 수준으로 회귀한다면, 감소했던, 16MTPA 정도의 소비 용량이 증가할 것이다. 또, 유럽의 소비도 21년 수준으로 단순 회귀한다고 하면, 28 MTPA가 증가할 예정이다. 러시아산 물량이 22년 수준을 유지한다는 전제하에, 중국의 리오프닝 그리고 유럽의 수요 회복으로 증가하는 물량은 44MTPA다.
그렇다면, 2023년 수출 가동이 예상되는 LNG 터미널은 어떻게 될까? IEA에 따르면, 2023년 미국 칼카시외 패스 LNG 시설, 모잠비크 코랄 사우스 LNG 시설 미국 프리포트 LNG 재개가 예상된다. 약 7.5 MTPA 정도의 LNG 수출 증가가 예상된다.
유럽이 러시아산 가스를 그대로 받고, 경제가 재개된다 고 가정 하면, 수요 증가분이 44MTPA로 공급 증가분 7.5 MTPA 대비해서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약 36.5 MTPA의 초과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이는 단순 가정으로 석탄 발전의 증가, 원자력 발전 증가, 수요 감축 노력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좀 더 가정을 현실적으로 하면, 유럽의 러시아산 가스 수입양은 점차 감소할 것이다. EU 연합이 22년 수입한 60 MTPA 대비해서 각각 50%, 100% 감축시, LNG 시장 내 초과수요는 66.5 MTPA , 96.5 MTPA로 더 커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