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2.05.26
폐기물 처리주체별 처리량 비중
[한화투자증권 김용호] 폐기물 : 매크로 불확실성 속 확실한 대안

사업장폐기물의 민간처리 비중 82.5%
폐기물의 처리는 주체별로도 분류할 수 있다. 처리주체는 자치단체, 자가처리, 처리업체 등이 대표적이다. 자치단체는 시 도 또는 시 군 구의 처리시설을, 자가처리는 배출업소에서 직접 운영하는 처리시설을 의미한다. 처리업체는 폐기물 처리시설에 대한 인허가를 받아 폐기물을 위탁 받아 처분하는 민간 업체를 말한다.
생활계폐기물은 종량제봉투에 담긴 폐기물과 분리수거 되는 재활용 폐기물로 분류되며 처리의무는 지자체에 있다. 따라서, 종량제봉투 폐기물은 지자체가 처리하고 재활용 폐기물은 지자체와 위탁계약을 맺은 민간업체에 의해 재활용 처리 되는게 일반적이다.
한편, 사업장폐기물은 배출자, 즉 사업자가 처리주체가 된다. 지자체별로 허용여부에 따라 일정 부분 공공처리시설에서 처리되기도 하지만 통상적인 경우 사업자는 폐기물 처리를 위해 처리업체에 위탁하거나 자가처리시설을 구축하여 직접 처리해야 한다. 다만, 여건상 자가처리시설 구축 보다는 처리업체에 위탁처리 하는 경우가 많다. 이 같은 특성으로 생활폐기물은 지자체에서 처리되는 비중이 ‘20년 기준 51.2%로 가장 높고, 사업장폐기물은 위탁처리 비중이 82.5%에 육박한다
관련 목록
폐기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