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8.18 폐기물 배출과 처리과정에서 연관산업

최근 다운스트림 시장에서 공격적 인수합병을 해온 환경기업들이 점차 단순 처리 이외의 사업 즉 Waste to energy 의 방식으로 확장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성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폐기물 처리 시장은 성장은 꾸준하겠으나 성장률에 한계가 점차 나타나고 있다

2) 친환경 사업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환경기업들은 폐기물 처리 소각이나 매립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오염물질을 배출할 수밖에 없다. 순환경제를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폐기물의 단순 처리가 아닌 연료화 혹은 재활용을 통한 그린 에너지화 사업이다 특히 폐기물 에너지화의 가장 큰 장점은 메탄 발생이 최소 화된다는 점에 있다.

3) 폐기물 연료화나 재활용 사업에 있어 관건은 feedstock 확보 인데 이 요건을 충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형 환경플랫폼들이 미래사업에서 성공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가장 중요한 feedstock 확보에도 유리하지만 자본력 혹은 계열사와의 시너지 때문이다. 일례로 고체폐기물의 에너지화 사업 시 , 폐기물을 소각하고 발생한 열을 증기 변환 시스템으로 증기화 시켜 발전소의 연료로 사용하는데 2천도의 고온에서 소각할 수 있는 친환경 설비가 필요하다 또한 폐기물 소각 과정에서 유해 물질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스크러버로 강력한 여과과정을 거쳐야 한다.

관련 목록
폐기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