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2.10.28
할인점 산업 성장 추정
[한국투자증권 김명주] 2023유통전망 - 난세는 영웅을 만든다.

2023년 할인점 산업의 성장률은 2.9%(+1.8%p YoY)를 기록할 것이다. 내년에 마트가 안정적인 성장률을 기록하는 이유는 소비자 물가 상승 영향(당사 추정치 2023F CPI 3.1%)과 온라인 시장 성장의 낮아진 영향도 때문이다. 과거 할인점 산업이 고성장과 양호한 실적을 냈던 시기는 2009년부터 2012년(이마트, 신세계 분할 2011년 2월)인데, 2009년부터 2011년까지 평균 소비자물가상승률은 3.2%(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7.4%) 수준으로 2009~21년까지의 평균인 1.8%(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3.7%) 대비 높은 수준이었다. 할인점은 소비자에게 제품 가격 인상을 전가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 물가 상승은 할인점 산업의 성장과 기업의 이익 증가에 긍정적이다. 우호적인 산업 환경과 함께 이마트를 필두로 하는 할인점 기업의 매장 리뉴얼도 산업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2023년 이마트와 롯데마트 모두 안정적인 매출 증가가 예상된다.
관련 목록
화장품/유통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