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4.07.12
화장품 ODM CAPA
[미래에셋증권 배송이] ODM 전성시대



ODM 업체들의 2Q24 호실적을 예상한다. 외형 성장과 더불어 생산 효율 개선에 비롯한 마진 개선이 기대된다.
2Q24 ODM 업체들의 국내 매출 성장률은 씨앤씨인터내셔널 YoY +49%, 코스맥스 YoY +25%, 한국콜마 YoY +17%, 코스메카코리아 YoY +15%로 추정된다. 2분기는 썬크림 등 계절 아이템과 하반기 신제품이 생산되는 ODM 성수기이다. 강한 외형 성장과 계절적 성수기가 겹치면서 ODM 업체 전반이 Full Capa에 가깝게 가동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가동률 씨앤씨인터내셔널, 코스맥스 7~80%, 한국콜마 100% 내외, 코스메카코리아 50% 미만 추정).
높은 가동률은 생산 효율 개선으로 이어진다. 특히 금번 분기는 풀가동인 만큼 수량 효과(Q)와 단가 효과(P)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환경이다. 수량 효과는 대량 오더에, 단가 효과는 ODM의 협상력 상승과 중소형 브랜드 오더에 기인한다. 이러한 이유로 다수의 ODM 업체가 역대 최고 수준의 국내 영업이익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국내 영업이익률 씨앤씨인터내셔널 16%, 한국콜마 14%, 코스맥스 12%, 코스메카코리아 12%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