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25 주요 의류 브랜드업체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 / F&F 연간 부문별 매출액 추이
[현대차증권 정혜진] 화장품/의류 - 훈풍이 분 다음에는

한국에서도 1H22 방역 완화 이후 의류소비가 크게 증가했었던 경험이 있기 때문에, 현지 방역 기조가 완화될 경우 외부활동이 증가하면서 중국 Exposure가 높은 F&F의 탄력적인 수혜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현지에서는 2Q22 주요 도시 위주 강력한 봉쇄가 해제된 이후에도 3Q22까지 국소적인 락다운이 지속되고 있으나, 방역 강도 자체는 1H22보다 완화되었으며 이러한 기조는 23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F&F의 실적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중국 매출은 현지 매장 출점 증가를 기반으로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현지 counter수가 예년대비 크게 감소한 화장품 브랜드업체보다 현지 소비 회복시 수혜강도가 더욱 클 것으로 판단되는 이유다. 

관련 목록
화장품/유통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