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2.09.30
미국 FTA 체결국 및 핵심 원자재 부존 현황
[글로벌 공급망 분석 센터 - 임지훈 연구원] 리튬,배터리 핵심 원자재 공급망 분석

현재 한국산 배터리는 미국이 요구하는 역내 의무 조달 충족이 불가한 상황
- 우리 배터리/소재 기업이 미국 내 보조금 적용에서 제외될 경우 미국 내 內 경쟁력 저하가 불가피
- 북미에서 배터리를 제조하더라도 원자재 요건 미충족 시 전체 보조금의 50%만 지원 가능
- 다만 중국 의존도가 높은 광물 및 배터리 소재 조달처는 해외 경쟁사도 유사해 보조금 지급 요건 변화가 국내 배터리 기업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음
한국은 미국과 FTA를 체결한 배터리 광물 국가로의 공급망 전환을 적극 고려할 필요
- (호주, 칠레, 캐나다) 호주와 칠레가 광물 생산 노하우와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으며 캐나다는 과거 생산을 중단한 바 있으나 최근 다시 생산을 재개
- (멕시코, 페루) 탐사/개발 초기 단계로 리튬의 생산 및 유통망 구축까지 수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
- (미국) 리튬이 채굴되고 있으나 생산량이 적고 신규 프로젝트는 지역사회와 환경론자의 반대에 직면
관련 목록
2차전지소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