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2.09.28
리튬변환 공정(경암형, 염수형)
[메리츠증권 노우호] 리튬변환공정

1. 전기차용리튬은 경암형(Hard rock)과 염수형(Brine) 방식으로 대표적인채굴방법
- 글로벌매장량의 60%가 염수형, 향후 리튬 투자 또한 염수형으로 집중
2. 삼원계 기반의 국내 배터리셀 기업들의 하이니켈 양극재 핵심원재료는 수산화리튬. 수산화리튬은 경암형 스포듀민공법으로 직접제련가능, 반면 염수형은 탄산리튬과 촉매작용으로 수산화리튬을 생산하는 공정
탄산리튬을 추가 가공하여 만들어지는 수산화리튬은 하이니켈 배터리에 더 적합한 소재로 사용되며, 따라서 그 형태로만 본다면 수산화리튬이 탄산리튬을 기술적으로 압도할 것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실제로는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의 장단점이 명확하다. 수산화리튬은 탄산리튬 대비 낮은 온도에서 분해되어 배터리 음극 생산과정을 더욱 안정화시키고, 최종 제품의 수명을 더 연장해주는 반면, 탄산리튬은 상대적으로 낮은 생산 비용 외에도 취급이 용이하고 보관 수명이 더 길다. 따라서 실제로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 중 어떤 제품이 시장을 장악할지는,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헤게모니를 하이니켈 배터리(수산화리튬 사용)와 LFP(Lithium iron Phosphate) 중 누가 가져갈 것인지에 따라 사뭇 다르다. 흔히 탄산리튬에서 수산화리튬으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가공 비용은 약 1,500-2,000달러/톤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두 제품 간 가격 스프레드에 따라 당분간 각 제품의 대한 수요가 결정될 것이다.
관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