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23 건식공정 로드맵 : 저비용, 고효율, 친환경
[메리츠증권 노우호] 2전지/석유화학_Up-Trend

건식공정(Dry Electrode Technologies)는 기존 습식공정 대비 에너지 소모량, 원가, 성능 측면에서 우수한 공정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난 2020년부터 Tesla는 Battery Day를 통해 자사의 4680원통형 전지 제조 공정에 건식공정을 도입, 중/장기적으로 50% 이상의 원가 절감 목표를 밝힌 바 있다. 기존 습식공정이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를 용매와 섞어 슬러리를 도포하는 방식이라면, 건식공정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다. 기존에 용매로 사용되는 양극재 NMP에는 독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별도의 증류탑과 회수설비가 필요해 원가가 높아지며, 환경오염의 문제 또한 발생한다.


효율성 측면에서도 건식공정은 습식공정 대비 뛰어난 모습을 보인다. 용매/용제의 건조 및 회수에 드는 시간이 단축되어 전체적인 제조 시간이 짧아지며, 용매/용제가 차지하는 공간이 사라져 바인더 투입량이 적어진다. 이를 통해 전체적인 이온굴곡률이 낮아져 전력 및 이온의 이동이 더욱 쉽게 이루어져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습식공정 : 높은 이온 굴곡률, 낮은 내구도(바인더 5% 함량)

건식공정 : 낮은 이온 굴곡률, 양호한 접착 상태 유지(바인더 1% 미만).

관련 목록
2차전지소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