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2.05.25
포스코케미칼 2차전지소재 제품 및 공정 개발 일정
[DB금융투자 정재헌] 2차전지 : 소재의조화


포스코케미칼의 에너지소재 매출액은 22E 1.4조원→25E 7.0조원의 가파른 성장세를 시현할 것으로 전망한다. 양극재의 경우 23E 본격 양산이 개시되는 광양 3단계와 4단계를 시작으로 25년까지 약 28만톤의 생산능력을 확보할 예정이며 30E 목표 생산능력은 61만톤에 달한다. 양극재의 경우 Ultium Cells향으로 판매 예정인 하이니켈 NCMA 양극재 외에도 단결정 NCMA와 코발트 프리 양극재 등의 차세대 양극재 개발을 통해 고객사 확장을 꾀하고 있으며, 30E 글로벌 양극재 시장 점유율 20%를 목표하고 있다.
음극재 또한 공격적인 증설이 예정되어 있으며, 25E 17만톤, 30E 32만톤의 생산능력 확보를 계획하고 있다. 포스코케미칼은 기존 천연 흑연 음극재 외에도 저팽창 천연흑연 음극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21년말 8천톤 규모의 인조흑연 음극재 생산설비를 확보했다. 또한 추가 8천톤 규모의 인조흑연 음극재의 생산설비를 4Q22 확보해 총 1.6만톤의 생산능력을 확보할 예정이며 관련 매출액은 4Q23년 또는 1Q24부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천연흑연과 인조흑연 외에도 실리콘 음극재 개발 또한 진행 중이며, 24년에는 SiOx 제품 개발이, 25년에는 Si-C(실리콘-카본복합체)제품 개발이 마무리 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목록
2차전지소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