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2.09.26
국가별 니켈 매장량, 생산량 비중
[DB금융투자 한승재, 정재헌] 에너지 신냉전시대: 분단의고착(다만 진짜 문제는 니켈)


다만 진짜 문제는 니켈
다만 양극재 생산에 많은량이 사용되는 니켈의 경우 리튬 대비 조달처 다변화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미국과 FTA가 체결되어 있는 호주는 인도네시아 다음으로 높은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니켈 생산량은 미국과 FTA가 체결되어 있지 않은 인도네시아, 필리핀 그리고 러시아가 앞선 상황이다. 19년 실제 생산량 기준으로도 러시아와 중국에 위치한 광산이 높은 생산량을 기록했으며, 최근에는 인도네시아 니켈 광산에 대한 중국 업체의 투자가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또한 니켈의 경우 탐사부터 실질적인 양산으로 이뤄지기까지 리튬 광산 보다 많은 시간이 투입되기 때문에 단기간에 생산량을 증가시키기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IEA에 따르면 리튬의 경우 탐사이후 양산까지 약 4~7년이 소요되는 반면, 배터리 원재료에 적합한 Class1 니켈(순도 99.8% 이상)이 주로 생산되는 황화광(Sulfide)이 약 13년이 소요된다. 물론 기초 탐사에서부터 최종 생산까지의 기간이기 때문에 매장량이 이미 확인된 지역에 증설이 이뤄질 경우 기간이 충분히 단축될 수는 있지만, 리튬 대비 생산 탄력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또한 니켈의 경우 대부분의 한국 업체가 집중하고 있는 하이니켈 배터리의 사용된 전체 광물의 무게 기준으로 약 20%를 상회하는 핵심 원재료이기에 높은 조달 안정성이 필요한 상황이다.
관련 목록
2차전지소재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