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1) 작년 중순 이후 전세계적으로 엔데믹 추세로 향하면서, 약 2년 이상을 오프라인 공연 활동을 할 수 없었던 K-POP 아티스트들의 국내외 콘서트가 재개됐다. 팬데믹 기간 동안 상당 수준 레벨업한 아티스트들은 월드 투어를 본격화하고 있다. 중국 본토의 통행 제한이 풀리고 대외 활동이 재개되면서 중국 본토 내 공연은 어렵다 하더라도, 중국 외 지역에서 열리는 콘서트를 찾는 중국 팬들이 늘고 있다. 1월 열린 블랙핑크의 홍콩 콘서트(1/13~15)의 중국의 K-POP 팬이 대거 몰리며 티켓 값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현지 보도가 있었다. 그동안 중국 내 팬덤은 확대됐는데,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오프라인에서 팬심을 드러내지 못했던 중국 팬들이 그동안 억눌렸던 공연 수요를 폭발적으로 분출할 가능성이 크다. 속속 재개되는 K-POP 아티스트들의 월드 투어는 흥행 가도를 달리고 있지만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더해지면 그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
2) 엔터사들의 현지화 전략이 강화되면서 국내 엔터사에서 현지 기업과 합작 등의 방식으로 론칭한 중국 아이돌 그룹이 활동 중이다. 이들은 중국인 또는 중국계로 멤버가 구성된 만큼 한한령의 제약에서 자유롭다. 중국 현지화 그룹으로는 18년 JYP에서 내놓은 그룹 ‘보이스토리’, 19년 에스엠의 NCT 유닛으로 데뷔한 웨이션브이(WayV) 등이 있다. JYP는 금년 상반기 중국에서 보이 그룹‘Project C’ 론칭을 준비 중이다. 웨이션브이 등은 글로벌 팬미팅 투어를 2월부터 개시할 계획이다. 중국 리오프닝에 따른 중국 현지 아티스트의 대외 활동 본격화로 이익 개선을 수혜를 누릴 수 있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