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2.03.16
중국 OTT 시장 점유율 / 아이치이 유료 가입자 수 추이
[DB금융투자 신은정] 어쩔티비


미디어 산업에서는 왜 항상 중국이 거론될까? 중국의 판권 거래 스케일이 크기 때문이다. 중국 미디어 시장 또한 OTT 플랫폼이 커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드라마, 예능, 영화, 음악 등 콘텐츠 수요는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OTT 사용자는 약 3억명 가까이 되는 것으로 추산되며, 유료 구독자는 약 1억명 이상으로 파악된다. 20년 기준 중국 내 OTT 점유율로는 아이치이 37%, 텐센트 31%, 요우쿠투도우 14%로 메이저 OTT이다.
중국 OTT 성장의 촉매제는 아이치이라고 할 수 있다. 후발주자였지만 공격적인 콘텐츠 투자로 선두 업체였던 텐센트와 요우쿠투도우의 점유율을 넘어 섰기 때문이다. 아이치이의 연간 매출원가 대비 컨텐츠 투자 비중은 17년 부터 평균 75% 수준이며, Top 2 플랫폼인 텐센트와 아이치이가 아시아 시장 M/S도 확장하기 위해 한국 콘텐츠와 다양하게 협의 중인것으로 파악된다
관련 목록
엔터/미디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