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2.10.18
글로벌 임플란트 시장 점유율 / 1만명당 연간 임플란트 식립 환자 수
[한국투자증권 정송훈] 임플란트 단단하게 자리 잡는 중

국내 임플란트 시장 규모는 4천억원대 중반이며 국산 임플란트의 시장 점유율은 90%를 상회한다. 그러나 건강보험 적용, 80%가 넘는 시술 가능 의사 비율 등 임플란트 시장이 성숙해지면서 경쟁이 심화되었으며, 인구 측면에서도 폭발적인 시장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국내 임플란트 제조사들은 200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인 해외진출을 시작했다.
국내는 연간 임플란트 식립 수가 성인 1만명당 500~600명 수준으로 높지만, 해외는 유럽, 미국 등 선진국이 100~200명, 중국은 28명으로 한국보다 낮다. 임플란트 시술 가능한 의사 비율도 국내는 80%인반면, 유럽, 미국 등 선진국은 25~35% 수준이다. 따라서 국내 임플란트 제조사들은 현지 치과 의사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시술 교육을 진행하는 등 마케팅과 현지 네트워크를 강화하며 해외 진출에 성공했다. 2021년 국내 주요 3개 기업의 연결 매출 대비 해외 매출 비중은 약 70%다. 향후 지속적인 해외 진출 국가 수 및 해외 매출 증가가 국내 임플란트 제조사 성장의 핵심이 될 것이다.
관련 목록
미용/의료기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