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27 스킨 부스터 유효 성분별 분류
[키움증권 신민수] 피부과든 집에서든 어디서나 예뻐지기

- 스킨 부스터는 필러의 하위 분류로서 볼륨을 채워주는 기능보다 피부를 근본적으로 개선시키는 데에 초점을 맞춘 제품들을 의미한다

- 필러는 크게 HA, CaHA, PN, PLA 등의 유효 성분을 기반으로 제조된다. 

- 우리나라에서는 PN 필러가 스킨 부스터로 자리매김하며 내수 시장은 물론 1H23부터 수출 물량도 늘리며 해외 저변을 확대하고 있다.

- 현재 스킨 부스터 유효 성분으로 쓰이는 것들은 주로 4 가지이다. 필러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히알루론산(HA), 탄탄한 역사를 자랑하는 칼슘하이드록시파타이트(CaHA), 국내에서 확실한 영역을 만들고 있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PN), 가루 형태로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는 젖산(PLA)


2022 년부터 글로벌 헬스케어의 핵심 키워드 비만 치료제 ’ 또한 필러와 스킨 부스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 GLP 1 치료제 투여 ‘Ozempic Face’ 발생 → 이를 치료하고픈 수요 → 필러와 스킨 부스터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이어지는 산업 트렌드를 전망한다 

- Ozempic Face는 비만 치료제 투여 후 살이 급격하게 빠지면서 얼굴이 수척해보이는 현상을 의미한다. 

- 비만 치료제 CAPA가 늘어나면서 향후 수급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예측되기에 관련된 뷰티 시술 수요도 늘어날 수 있다고 판단한다





 


 

관련 목록
미용/의료기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