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0.18 임플란트 산업 성장 요인
[한국투자증권 정송훈] 임플란트 단단하게 자리 잡는 중

먼저, 고령 인구 증가로 치아 상실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전세계의 65세 이상 인구는 2019년 7억명에서 2030년 10억명, 인구 비중으로는 2019년 9.1%에서 2030년 11.7%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치아는 신체 부위인 만큼 수명이 있고,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상실되는 치아가 증가한다. 노인 치아 상실을 해결하기 위해 임플란트, 틀니, 크라운의 방법이 있다. 이 중 임플란트는 자연치아의 약 80% 수준의 저작력(씹는 힘), 다른 방법 대비 뛰어난 심미성, 관리의 용이성을 가져 선호도가 높다.


두번째로 경제 성장으로 1인당 소득이 증가하면 치과 접근성이 향상된다. 소득수준 증가로 인해 치과 치료 영역이 과거 충치 치료에서 임플란트, 치열 교정 등 고가의 치료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또한 같은 치과 치료를 받아도 심미성이 높은 치료 방법을 선택한다. 치아 상실을 해결하기 위해 과거에는 틀니를 사용했다면 이제는 임플란트를 선택한다. 여기에 한국 시장과 같이 임플란트 보험 적용 및 적용범위 확대, 경쟁 심화로 인한 비급여 시술 비용 하락, 가성비 있는 제품까지 더해진다면 환자의 비용 부담이 감소해 접근성은 더 향상된다.


마지막 성장 요인은 증가하는 수요에 발맞추어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한 의사 수의 증가다. 글로벌 및 국내 임플란트 제조사들은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임플란트 임상 교육을 제공한다. 임플란트 시술 교육을 받은 의사들은 제품이 손에 익어 브랜드를 교체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임플란트 제조사는 임상 교육을 자사 제품을 홍보하고 이를 매출로 연결하는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한다.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한 의사 수 증가는 경쟁 심화로 이어졌으며, 이는 다시 시술 가격 하락(비급여)과 수요 증가로 이어져 임플란트 시장 성장에 기여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었다.

관련 목록
미용/의료기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