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17.08.10
메디톡스, 휴젤 생산설비 현황
[신영증권 엄여진, 정규봉] 보툴리눔 톡신 산업


증설 후 메디톡스는 1,770만 바이알의 생산 CAPA 보유
메디톡스는 현재 1공장과 3공장에서 보툴리눔 톡신을 생산중이다. 동사는 1공장에서120만 바이알, 3공장에서 900만 바이알 생산이 가능하며, 앨러간 전용 공장인 2공장은 750만 바이알 규모로 아직도 밸리데이션을 받는 중이다. 3공장은 2017년 6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보툴리눔 톡신 제제 생산동의 허가를 승인 받아서 가동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따라 연간 약 900만 바이알 규모의 생산이 추가될 수 있다. 제3공장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 생산동 허가로 연간 약 1,770만 바이알 규모의 생산 시설을 확보하게 되었다.
증설 후 휴젤은 572만 바이알의 생산 CAPA 보유
휴젤은 2017년 말 보툴리눔 톡신 572만 바이알을 생산할 수 있는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될 전망이다. 1공장에서는 72만 바이알을 생산하고 있으며, 2공장은 2016년 2분기부터 가동되기 시작해서 250만 바이알의 생산이 추가되었다. 동사는 2공장의 생산설비를 추가해서 2017년 말에는 총 572만 바이알까지 생산이 가능할 전망이다.
관련 목록
미용/의료기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