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2.11.23
글로벌 플라스틱 시장 규모 / 폐기물 플라스틱 규제 강화
[메리츠증권 김정욱, 노우호] ESG투자격변기 Food Tech + Plastic


- 플라스틱은 강한 내구성과 부식성과 좋은 가공성과 가격부담 또한 적어 다방면에서 사용 중
- COVID-19의 역설적 수요 항목으로 포장용 플라스틱/마스크 필터 등이 포함되며 꾸준한 수요 증가 시현
- 플라스틱 시장 성장으로 폐플라스틱 발생량 또한 급증 → 폐플라스틱은15년 대비 18년+30% 증가 폐플라스틱의 증가률은 가연성 폐기물 증가률(8%) 대비 높은 편
- 최근 친환경/CO2에 높아진 사회적 공감대에 따라 석유화학 및 관련 기업들은 플라스틱 순환 경제를 구축하는 움직임 가속화
- 폐기물 플라스틱의 규제 대상 제품은PE, PP, PET, PVC, PS 등
- 주요 선진국들은 플라스틱의 생산-유통-소비까지의 전체 Value-chain에 대한 처리 규정 강화
- EU: 22년 면봉 등 일부 품목 판매 금지 → 25년Pet병 생산에 재활용 소재25% 이상 포함
- 중국: 21년 플라스틱 포장용기 생산/판매 금지 → 26년 분해가 어려운 비닐/포장 플라스틱 사용 금지 해당 규제 위반에 최대 10만위안의 벌금 부과 등으로 규제 강화 중
- 한국: 19년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 금지 → 22년 전 업종으로 규제 확대
관련 목록
플라스틱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