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2.10.31
화학적 재활용의 종류별 특징
[IBK투자증권 채윤석, 이동욱, 이건재] 현대판 연금술 열분해


화학적 재활용 (Chemical Recycling)
- 화학적 재활용은 열적 분해 또는 화학 반응으로 폐유기물을 오일과 가스로 분해하고 연료 및 화합물 원료 등으로 활용하는 방법으로 물리적 재활용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이다.
- 모든 화학적 재활용은 종류별 고도분리작업이나 오염된 폐기물에 대해 민감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으나 , 해중합의 경우 경제성 측면에서 상용화까지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점, 용매추출의 경우 정제 과정에서 액상 유독 폐기물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경제성, 지속성 등을 고려한다면 화학적 재활용 내에서도 열분해 가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라 판단한다.
- 열분해 내에서도 온도와 산소 주입 여부, 생성물 등에 따라 탄화, 유화 , 가스화로 나뉠 수 있다
- 이 중 고분자 폐기물이 보유한 에너지 잠재량을 부가가치가 높은 연료유의 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는 유화 공정 위주로 꾸준히 연구개발이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 상업화를 위한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관련 목록
플라스틱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