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0.31 국내의 폐플라스틱 열분해 기술개발 현황
[IBK투자증권 채윤석, 이동욱, 이건재] 현대판 연금술 열분해

열분해유의 고급화와 정제 공정 원료화

- 열분해로 생성된 오일의 품질을 높여 납사 공정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제 , 안정화 , 탈취 , 탈색 등의 기술 적용을 통한 열분해 오일의 고급화가 필요하다.

- 열분해유는 혼합 유기물의 전처리 과정 , 용융 과정에서의 염소 성분 제거 , 슬러지 처리 등의 공정을 거치며 유해 성분 함량이 전반적으로 감소되었지만 완벽하게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 결국 혼합 유기물의 열분해에 의해 최종 생성되는 혼합유에는 염소, 황, 질소 등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어 저급 오일로 분류 산업용 보일러, 저급 디젤유 등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

- SK이노베이션은 2021 년 9 월부터 제주클린에너지로부터 열분해유를 공급받아 수소첨가반응 기술로 열분해유를 후처리 한다

- GS칼텍스는 여수공장 석유정제공정의 원료로 열분해유를 투입 , 프로필렌을 생산하고 이를 다시 석유화학공정의 원료로 사용 폴리프로필렌 등의 제품을 생산한다

- 현대오일뱅크는 2021 년 11월부터 열분해유를 정유 공정에 투입하며 실증 연구를 수행했으며 2023 년부터는 열분해 ( 에서 열분해유를 생산 , 자회사인 현대케미칼에 공급할 예정이다 .

관련 목록
플라스틱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