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2.08.11
폐기물 매립, 소각 점유율 & 빅3 매립과 소각시설 위치
[삼성중권 이경자] 폐기물의 그린 에너지화 환경사업 의 고도화 단계 진입


- 일반폐기물 매립 시장 내 1위는 처리량 기준 에코비트로 22.9%, 2~ 3위는 아이에스동서와 에코비트이고 잔존 용량 기준으로도 에코비트 아이에스동서 SK에코플랜트 순으로 높다.
- 그러나 처리량 대비 잔존 용량의 점유율은 에코비트가 소폭 높다. 이는 에코비트가 최근 매립단가 하락을 이유로 반입량을 조절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 지정폐기물 시장에서는 에코비트가 처리량 기준 47.3%로 1위 아이에스동서와 SK에코플랜트가 각각 2,3위다.
- 소각시장 역시 생활폐기물은 지자체가 직접 영위하고 민간기업은 산업폐기물과 의료폐기물 시장에 진출해 있다.
- SK에코플랜트가 처리량 기준 13.1% 로 1위이고 아이에스동서가 7.3%, 신규로 확장하는 에코비트가 3.0%로 3위지만 상위사 점유율이 30% 내외로 아직 파편화된 시장이다.
- 가연성 폐기물이 주로 발생하는 수도권과 경상권에 소각장이 많이 분포하며 SK에코플랜트는 전역에 에코비트는 호남권에 주로 진출했다
- 매립과 소각시장은 최근 3년간 빠른 인수합병으로 상위사의 점유율이 늘었지만 여전히 인수 통합의 여지가 많다.
관련 목록
폐기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