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2.09.19
음식료 공급원가 상승률 추정 / 곡물 투입가 현황
[하나증권 심은주] 음식료/담배 : ‘기상이변’과 ‘고환율’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농촌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음식료 업체들의 업종별 원재료비 증가율은 5.1%∼47.8% 로 추정된다. 원재료 구성 비중 및 상승률을 감안한 공급 원가 부담은 아래와 같다.
① 3% 이상~10% 미만: 빵류(3.0%), 음료류(3.3%), 과자류(7.5%)
② 10% 이상∼20% 미만: 면류(12.8%), 커피 및 코코아(17.9%)
③ 20% 이상: 제당(23.4%), 식용유지(27.8%), 제분(41.5%)
상대적으로 제당, 식용유지, 제분 등 소재의 원가 부담 가중이 컸다. 설탕 및 유지, 밀가루는 가공식품 생산의 가장 기본이 되는 원재료인 만큼 식품 업계의 연쇄 판가 인상이 사실상 불가피한 상황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CJ제일제당의 올해 상반기 주요 달러 기준 곡물 투입가는 전년동기대비 소맥/옥수수/대두/원당이 각각 40%/33%/24%/37% 상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환율 감안한 한화 환산 투입가는 각각 53%/46%/37%/50% 상승한 것으로 판단된다
관련 목록
음식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