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2.02.16
대체단백질의 위상이 빠르게 높아질 것에 대한 근거
[DB금융투자 차재헌] 대체육, 배양육, 곤충식품


배양육은 2013년 첫 선을 보였을 때 패티 두 장을 만드는 데 30만 달러 이상이 소요됐으나, 현재는 100g당 수십만원 수준까지 낮아진 상태다. 생산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FBS(소 태아 혈청)의 대체가 완료되고, 근육세포 증식 방법에 대한 노하우가 확립되면 생산단가가 100g당 1만원 이하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된다.
대체단백질 식품군 중에 가장 빨리 시장에 안착하는 것은 식물성 대체육이 될 전망이다. 최근 수 년간 맛과 식감이 크게 향상되면서 소비자 저변이 두터워졌고, 대량생산, 대량판매에 따른 고정비 절감과 원재료 가격 하향 안정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배양육의 경우 무혈청 배양액 사용, 세포배양 수율 증대,설비 대형화 등의 과제들이 해결되면서 2025~2030년 중에 상업성을 확보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 목록
음식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