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3.01.10
2023년 이커머스 방어력은 D2C 역량에 달렸다.
[교보증권 김동우] 침체를 대하는 플랫폼의 자세


국내에서는 네이버가 이와 같은 쇼피파이의 D2C 솔루션 모델을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업체로 판단한다. 각 기업은 브랜드스토어를 구축(스토어 플랫폼)하고, 판매 활동에 대한 세분화된 데이터 리포트(브랜드 애널리틱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업별로 이미지를 잘 드러낼 수 있는 웹사이트 UI/UX 개편 툴 및 특화된 프로모션 지원과, 마케팅(쇼핑라이브, 버티컬 전시관) 및 고객 관리(브랜드패키지)에 대한 기능을 강화해나가고 있다.
광고 영역에서도 이미지를 중시하는 브랜드 고객들은 검색광고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광고까지 (브랜드스토어 계약과 함께) 통합계약을 체결하기 때문에, 프리미엄형 비디오광고, 전면형 광고와 같은 디스플레이 광고에 있어서도 수요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실제로 네이버 입점 브랜드스토어 수는 2021년 4분기말 617개에서 2022년 11월 1,340개로 723개 증가했으며, 브랜드스토어 거래액은 3Q21 4,941억원에서 3Q22 8,400억원(네이버 플랫폼 상품 거래액 내 비중 11.8%)으로 YoY +70% 증가했다. 동 기간 네이버 쇼핑 전체 GMV가 8.8조에서 10.5조로 +19.1% 증가했음을 고려했을 때, 브랜드스토어 거래액 성장이 서비스 거래액 성장(1.2조원, YoY +110%), KREAM 거래액 성장(YoY +170%)과 함께 전체 커머스 성장을 견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관련 목록
화장품/유통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