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2.11.08
전기차가 유발하는 신규 동 수요 전망
[한국투자증권 최문선] 철강 - 우울한 철기시대


수요 증가가 가장 확실한 동
철강, 아연, 연 대비 동은 차별화된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전세계적인 전기차 생산 증가로 신규 수요가 창출되기 때문이다. 전기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더많은 동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 자동차는 대당 20kg의 동이 사용되지만, BEV(Battery Electric Vehicle)는 83kg,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는 59.9kg, HEV(Hybrid Electric Vehicle)에는 38.6kg이 사용된다. 류와 관계없이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EV가 더 많은 동을 사용한다. 내연기관 엔진이 모터로, 연료가 배터리로 바뀌면서 더 많은 동이 필요한 것이다.
향후 전기차 판매량은 증가할 것이다. 그리고 전기차 중에도 동 사용량이 가장 많은 BEV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할 전망이다. 이에 의해 동 수요도 동반 증가할 것이다
관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