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2.01.10
자율주행 분야별 시장 전망 / 세계 자율주행차 시장 전망
[신한금융투자 기업분석부] Eure Car


자율주행 전환 → ① 전장 수요, ② 데이터 송수신량 증가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필요조건으로는 차량제어 플랫폼, 하드웨어가 있다. 글로벌 업체들의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센서를 작동시킨다. 1) 카메라의 경우 비교적 먼 거리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외부 장애물에 대한 제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2) 레이더는 전자파를 발사해 전파의 소요시간과 주파수로 사물과의 거리 및 속도를 탐지한다. 3) 라이다는 고출력 펄스 레이저를 통해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이다. 다만 가격이 높고 기상 변화에 취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자율주행 상용화 시 주변기기의 변화는 필수적이다. 자율주행 기술의 진화에 따라 센서, 제어기 등 전장부품의 탑재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장 산업의 성장 속도는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다.
전장 수요 확대에 따른 자동차 컴퓨터도 필수 조건이다. 자동차 1대에서 생산되는 수많은 데이터를 가공하며 전달하는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자동차 컴퓨터의 등장은 차량 내 아키텍쳐 관리, 제어에도 효율적이다. 자율주행 상용화로 자동차 데이터, 인프라 송수신 데이터가 동반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센서, 인프라 확장이 일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