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8.20 2G/3G 유무선 네트워크 구조
[메리츠증권 정지수] 5G 산업 심층 분석

2G/3G 무선 네트워크 구조는 일체형 기지국(D-RAN)방식 


2G/3G 무선 네트워크는 크게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ubsystem),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3단계 구조로 되어 있으며, 기지국 신호 세기가 약한 음영지역은 중계기를 추가로 설치하는 구조다. 2G/3G 기지국(BTS)은 데이터 처리부(DU; Digital Unit)와 무선 송수신부(RU: Radio Unit)가 함께 설치된 일체형 기지국이며,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냉방을 위해 주로 중대형 건물 실내 공간을 임대해 설치됐다. 이러한 기지국 구축 방식을 D-RAN(Distributed RAN) 방식이라고 하며, 2G/3G 망에 보편적으로 사용됐다. 


2G/3G 무선 데이터 이동 경로 


기지국 제어기(BSC)는 여러 개의 기지국들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이용자가 기지국 내 통화 범위를 이탈했을 때 다시 주변 가장 가까운 기지국으로 연결시켜주는 핸드오버(Hand-over) 기능을 수행한다. 유선과 마찬가지로 휴대폰 문자 발송이나 스트리밍을 통해 수집된 무선 데이터는 전화국사로 전송되고, MSPP와 같은 광전송장비를 통해 상위국사와 백본망(인터넷 서버)으로 연결되는 구조다. 

관련 목록
5G/통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