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2.11.22
통신 3 사의 인터넷 데이터센 / 국내 데이터센터 수요 트렌드
[삼성증권 최민하] 통신서비스 : 성장의 답을 찾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통신사들이 6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통신 3사 중에서 KT 클라우드(KT) 가 14개로 가장 많은 IDC 센터를 보유하고 있고 LG유플러스가 12개 SK브로드밴드(SK텔레콤)가 10개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 B2B 클라우드 전환율이 선진국 대비 낮은 현 황 을 감안할 때 국내에서 데이터센터 시장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면서 통신사들의 데이터센터 사업 확쟁에 속도를 더할 가능성이 크다 통신 3사는 늘어나는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추가 용량을 확보해 캐파(CAPA)를 늘려 나갈 계획을 갖고 있다. 23년에도 데이터 수요 증가에 따른 IDC 사업 성장은 지속될 전망이다.
5G/통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