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07 폴더블 스마트 폰 출하량 추이 및 전망
[KB증권 김동원, 이참민] 2023년 IT 전망: 하반기 회복 초점

2023년 글로벌 폴더블 스마트 폰 출하량은 1,900만대로 추정되어 2022년 1,450만대 대비 31% 증가할 전망이다. 기대치 대비 더딘 성장세가 예상되는데, 

① 폴더블 스마트 폰만이 제공할 수 있는 특장점이 부족한 가운데, 

② 가격대와 무게, 두께 등도 여전히 부담스러운 수준이고, 

③ 삼성전자와 함께 폴더블 스마트 폰 시장 성장을 이끌어나갈 것으로 기대되었던 화웨이의 존재감이 미국 정부의 제재로 인해 추락했으며, 

④ 아직 애플이 시장에 진입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폴더블 스마트 폰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부진이 아쉽다. 삼성전자의 2022년 글로벌 폴더블 스마트 폰 출하량은 1,200만대 (레거시 제품 300만대 포함) 수준으로 예상되어 연초 시장 기대치 (1,800만대)를 크게 하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8월 출시한 신제품 갤럭시Z 플립5/갤럭시Z 폴드5의 부진이 뼈아픈데, 아래와 같은 이유로 시장 기대치 대비 저조한 판매 흐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① 전작은 두 제품 모두 40만원씩 출고가 인하를 단행해 소비자들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었으나, 올해 신제품들은 가격이 동결 (폴드4) / 인상 (플립4)되었기 때문에 가격적인 부분의 강점이 부각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② 두 제품 모두 전작 대비 완성도가 높아진 것은 사실이나, 눈에 띄는 하드웨어적인 변화 (전반적인 디자인, 기기 사이즈, 디스플레이, 카메라 등)가 적어 전작 대비 차별화 포인트가 제한적이다. 

③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소재/부품 가격에 대한 부담이 증대되었으나, 판매확대를 위해 공격적으로 소비자 가격을 책정한 만큼 기존 대비 판매촉진 활동 여력이 제한적인 것으로 파악된다. 

④ 반대로 경기 둔화와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소비자들의 지출 여력은 줄어들어 브랜드 로열티가 상대적으로 낮은 제품 (非 애플)에 대한 신규 수요는 약하게 나타나고 있다.

관련 목록
디스플레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