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2.09.15
K-POP 아티스트 투어 지역별 모객수 비중 / 코로나 기간 동안 달라진 K-POP 위상
[이베스트증권 안진아] K-POP RE BLUEOCEAN


코로나 이후 K-POP 콘서트는 2021년 12월 기점으로 재개되었다. 사실상 2022년에 콘서트 재개가 이루어진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1H22에는 글로벌 K-POP 아티스트 중심으로 콘서트가 재개되었다면 2H22는 1H22 포문을 열었던 주력 아티스트 외 신인아티스트의 첫 월드투어와 걸그룹의 월드투어가 예정되어 있다. 2022년 K-POP 글로벌 투어 모객수는 약 326만명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2H22 예정된 콘서트 모객수는 199만명으로 60% 이상의 공연이 2H22에 집중되어있다. 코로나 이전 월드투어는 일본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권 중심 지역이 많았으나, 코로나 이후 월드투어의 중심은 북미지역이다. 공개된 스케줄 가운데 북미 지역 38.5%, 일본 32.1%, 한국 7%, 기타22.4%으로 비주류였던 K-POP이 코로나를 기점으로 북미와 유럽 서구권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했음을 실감할 수 있는 부문이다
코로나 이후 2021년에 시작된 미국 내 콘서트 재개는 코로나 재확산 우려, 해외 아티스트 이동 문제 등에 미국 내 아티스트 중심으로 공연이 이루어졌으며, 본격적인 KPOP아티스트를 포함한 해외 아티스트 공연은 2H22 기점으로 정상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K-POP 콘서트 모객수는 약 326만명으로 코로나 직전 마지막 연도인 2019년 모객수 665만명 대비 절반 정도인 49% 모객수를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엔터/미디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