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2.11.28
중국 게임 시장 매출 비중 / 중국 진출 기대감 제로
[SK증권 이소중] 콘솔 시장 진출로 밸류 UP

2022 년 4 월부터 중국 판호가 9 개월여만에 재개됐지만, 4 월~9 월까지 해외 게임 대한 허가는 없었다. 판호 발급 수는 4 월부터 증가 중이지만, 한국 게임에 대한 진출 가능성은 희박해 보이는 상황이다. 아직까지 외자판호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되기 어렵지만 중국 로컬 업체와 게임을 공동개발해 판호를 취득하는 것은 유효한 전략으로 판단한다.
한편 중국 게임 시장은 점점 작아지고 있다. 1H22 중국 게임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8% 감소했고, 3Q22 에는 약 19% 감소했다. 정부 주도하에 규제는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성년자의 게임 시간은 일주일에 3 시간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VPN 우회, 미승인 게임 스트리밍 등이 금지되어 있다. 이러한 규제 속에서도 중국 게임사들의 퍼블리싱 및 개발 능력은 지속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국내 게임사가 중국을 진출한다고 해도 흥행이 보장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게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