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3.02.27
국내 데이터센터 수요 전망 및 분포 현황 / 클라우드 서비스
[신한투자증권 기업분석부] 혁신성장 : AI NEXT


플랫폼 확대로 데이터센터 운영 역할 및 전망
트래픽 증가에 따른 패러다임 변화로 데이터센터 수요도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자체 데이터센터 운영 역할에서 외주 센터의 관리/운영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초기 데이터센터 시장은 통신사와 국내외 테크기업 위주로 형성됐다. 이후 글로벌 데이터센터 기업, 해외 연기금 및 사모펀드 등 다양한 주체가 유입되고 있다.
국내 데이터센터 수는 2020년 기준 156개에서 2026년 188개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동시에 일반기업(Direct Colocation) 보다 클라우드 수요의 비중이 늘어날 것이다. 2030년 국내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비중은 70%에 달할 것이다.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규모는 CAGR(2021~2027F) 6.7%로서 2027년 약 8조원이 전망된다. 연기금, 운용사, 해외 데이터센터의 몫도 커지고 있다. 에퀴닉스, 싱가포르투자청, 이지스자산 등이 2023년 이후 각종 센터 개발을 목표하고 있다.
인터넷/보안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