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2.05.30
23년부터는 현존선까지 확대 적용, EEXI와 CII 시행
[미래에셋증권 이재광] 조선 : 배는 충분하나 필요한 배는 부족하다


CII는 선박이 실제 운항하며 배출한 온실가스의 양을 선박의 무게 및 운항거리 당 환산한 수치로 매년 각 선박에 대한 등급을 부여하여 등급에 따른 제재가 발생하게 된다. 현재 5,000 GT 이상의 선박은 매년 운항데이터를 IMO에 보고하고 있는데 2023년부터 CII 달성 값도 의무적으로 보고해야 하고, IMO는 선박의 CII 값을 당해 요구치와 비교하여 선박에 등급을 부여한다.
앞선 규제들과 마찬가지로 CII도 갈수록 기준을 강화할 계획이다. A~E의 5단계 등급이 부여될 것인데 C등급 이상이면 제재 조치가 없으나 3년 연속 D등급을 받거나 1년 E등급을 받을 경우 선주는 개선방안을 포함한 SEEMP(Ship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Plan, 선박에너지효율관리 계획서)를 작성하여 이에 대한 인증서를 받고 선박을 운항해야 한다. 만약 이후에도 등급을 개선하지 못하면 추가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없어 결국 시장에서 퇴출된다.
관련 목록
조선/해운 목록